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비자신체검사2

[CR1] 예방접종 2: 성인 예방접종 (Tdap/MMR/VAR) 기관 및 가격 비교방법 예방접종 1편에서 말했듯, 본인이 필요한 예방접종을 확인했다면 어디서 백신을 맞을 것인지를 알아보아야한다. 가장 쉽게 떠올려 볼 수 있는 곳이 보건소. 그러나 성인의 경우 지역별로 예방접종을 제공하는 목록이 상이하므로 각 시/군별 보건소 웹사이트에서 성인대상 예방접종 제공목록을 확인하거나, 전화로 문의해보면 된다. 예를들어 강남구의 경우 성인 대상으로는 아래와 같은 예방접종을 시행하고 있는데, 접종대상이 되려면 조검이있다. 그런 점을 확인해서 보건소로 문의해거나 방문할것. 만약 지역 보건소에서 접종을 시행하지 않는다면 일반 병원으로 문의해봐야한다. 나는 항체 검사를 하기전, 일단은 필수인 Tdap을 맞기로 결정하고(Tdap은 10년 주기로 맡아야 하기 때문) 보건소에 전화로 문의를 해보았는데, 아쉽게도 .. 2024. 3. 5.
[CR1] 비자 신체검사 예방접종 1 : 필요한 예방접종 feat.예방접종도우미 I-130청원을 하고 6개월 정도가 지났다. REF를 받든 NVC로 넘어가든 그 기간이 이변이 없지 않는 한은 5~6개월 정도가 남은 시점. 기다리는 동안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생각해보다, 비자 신차검사 생각이 났다. 맞아야 할 예방접종이 있다면 확인후 천천히 맞을 생각으로 내가 필요한 예방접종이 무엇인지 알아보기로 했다. 미국 비자 인터뷰를 앞두고 수혜자는 신체검사를 받아야만하는데, 미국에서 요구하는 필수 예방접종이 되어있어야한다. 2024년 3월 현재 필요한 예방접종은 다음과 같다. MMR, VAR, Tdap, B형간염 코로나(1년 이내 접종 이력 있어야함) 독감(10월~3월 신검 시) 여기서 코로나 백신의 경우, 2차, 3차까지 맞았다고 하더라도 신검 기준 1년 이내 접종 이력이 없으면 맞아야한다.. 2024. 3. 5.